LPH-6112 마라도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LPH-6112 마라도는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독도급 상륙함의 2번함이다. 2018년 진수되어 2021년 진해 해군기지에 배치되었다. 독도함과 비교하여 성능이 향상되었으며, 이스라엘제 EL/M-2248 MF-STAR 레이더, 팰렁스 CIWS, 해궁 등을 탑재했다.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 탑재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며, 비행갑판 개량을 통해 MV-22 오스프리 수직이착륙기 운용이 가능하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독도급 대형수송함 - LPH-6111 독도
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하는 대형 상륙함인 LPH-6111 독도함은 LPX 사업의 1번함으로 아시아 최대 규모 상륙함 중 하나이며, 상륙 작전, 재난 구조, 국제 평화 유지 활동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, 함명은 대한민국이 행정 관할하는 섬인 독도에서 유래되었다. - 2018년 선박 - 에버 기븐
에버 기븐은 이마바리 조선에서 건조되어 20,124TEU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선으로, 2021년 수에즈 운하에서 좌초되어 운하를 막는 사고를 일으킨 바 있다. - 2018년 선박 - 아카데믹 로모노소프
아카데믹 로모노소프는 2007년에 건조되어 2019년에 가동된 러시아의 부유식 원자력 발전소이며, KLT-40S 원자로 2기를 탑재하여 전력 생산, 열 공급, 해수 담수화 기능을 수행한다.
LPH-6112 마라도 - [배(Ship)]에 관한 문서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![]() | |
함선 국가 | 대한민국 |
함선 이름 | ROKS 마라도 |
함선 별칭 | 마라도함 |
함선 명명 유래 | 마라섬 |
함선 운영자 | 대한민국 해군 |
함선 수주 | 2014년 12월 23일 |
함선 건조자 | 한진중공업 |
함선 건조 장소 | 부산광역시 |
함선 건조 비용 | 4175억 원 (2014년) |
함선 용골 거치 | 2017년 4월 28일 |
함선 진수 | 2018년 5월 14일 |
함선 취역 | 2021년 6월 28일 |
모항 | 진해 해군기지 |
함선 식별 | 페넌트 번호: LPH-6112 |
함선 상태 | 취역 |
특징 | |
배수량 | 14,800톤 (경하) 19,000톤 (만재) |
길이 | 199m |
폭 | 31m |
흘수선 | 7m |
추진 | 4 SEMT Pielstick 16 PC2.5 STC 디젤 엔진 |
속력 | 23노트 (최대) 18노트 (순항) |
함선 탑재 보트 | 2 LSF-II 또는 LCAC |
함선 탑재 능력 | 차량 최대 200대 |
함선 탑재 병력 | 해병 720명, 전차 6대, 상륙돌격장갑차 7대 |
탑승 인원 | 300명 |
센서 | EL/M-2248 MF-STAR 대공 탐색 레이더, SPS-550K 수상 탐색 레이더, AN/SPS-95K 항해 레이더, TACAN, SAQ-600K IRST |
전자전 | ESM/ECM: SLQ-200(v)5K SONATA, 채프 발사기 |
무장 | 팰렁스 CIWS 2문, K-VLS 셀 4개 |
함재기 | 헬리콥터 최대 15대 (UH-60 블랙 호크 15대 또는 SH-60F 오션 호크 헬리콥터 10대) |
함재기 시설 | 5개의 착륙 지점과 격납고가 있는 비행 갑판 |
기타 정보 | |
가격 | 4,175억 원 |
함장 | 해군 대령 |
자매함 | 독도함 |
함재기 | 기동헬기 마린온 공격헬기 현재는 없음. 해병대 공격헬기 도입시 운영예정 대잠헬기 슈퍼링스 |
2. 역사
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독도함의 2번함 건조가 취소되었다가, 2012년 지역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건조 예산이 회복되었다. 대한민국 해군은 독도함(14,000톤) 1척만 운용 중인데, 군 일각에선 중국 항모인 랴오닝호(67,500톤)와 일본의 경항모급 헬기호위함인 이즈모형 호위함(19,000톤)에 대한 대응조치로서, 마라도함을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는 경항모(2만t 이상)급으로 건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.[20]
2. 1. 건조 과정
2010년,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인해 독도함의 2번함 건조가 취소되었다가, 2012년 지역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예산이 회복되었다.[9]2010년 10월 18일, 독도함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해군은 2018년 마라도함을 취역시킬 것이라고 밝혔다. 마라도함은 독도함보다 30% 이상 커져서, 헬기 10대가 동시 작전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했다.[17]
2014년 12월 23일, 대한민국 국방부는 한진중공업과 4175억원에 마라도함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. 이는 3257.7억원에 계약한 독도함보다 1.28배 비싼 가격이다. 마라도함은 배수량은 독도함과 같지만, 비행갑판을 개량하여 V-22 오스프리 수직이착륙기 2대가 이착륙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.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는 탑재할 수 없다.[21]
2016년 3월, 한진중공업은 마라도함의 설계를 마쳤다.[23] 같은 해 4월에는 북한이 한진중공업을 해킹해 내부 정보가 유출되기도 했다.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총국에 해킹당한 것으로 추정되며, 한진중공업은 "10억 원의 비용을 들여 망분리부터 하기로 했다"고 밝혔다.[24] 2016년 11월, 첫 강재 절단을 시작으로 건조가 시작되었다.[1]
2017년 4월 28일, 부산 영도구 한진중공업에서 정부 및 개발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마라도함 기공식을 가졌다.[1]
2018년 2월, 독도함급(14,000톤급)의 2번 함 이름이 ‘마라도함’으로 결정되었다.[25][26] 같은 해 4월, 부산광역시 영도의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모습이 포착되었다. 5월 14일 진수되었으며, 2020년 대한민국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었다.[27][28] 이후 2년 동안 장비 탑재 및 해상 시운전을 거쳤다.[1]
2020년 7월, 완전 건조 및 진수되어 시운전 기간을 가졌다.
2021년 6월 28일 취역식을 가졌다.[12][13]
2. 2. 취역 이후
2018년 5월 14일 부산의 한진중공업 조선소에서 진수되었다. 2007년 첫 대형수송함 독도함이 취역한 지 10여년만이다.[12][13] 2021년 6월 28일에 진해 해군기지에 배치되었다.[1]''마라도''는 원래 2010년에 취역할 예정이었다. 하지만 2008년 경제 위기로 인해 독도급의 2번함 건조가 취소되었다. 2012년 지역 내 긴장이 고조되면서 예산이 회복되었다.[9]
2016년 11월, 첫 강재 절단을 시작으로 건조가 시작되었다. 이듬해 4월 기공식을 가졌으며, 그로부터 1년 뒤 진수되었다. 이후 2년 동안 장비 탑재 및 해상 시운전을 거쳤다.[1]
2022년 5월, 대한민국 해군은 ''마라도''와 손원일급 잠수함, ROKS ''신돌석''함이 RIMPAC 2022에 참가한다고 발표했다.[10]
3. 독도함과 비교
독도함에 비해 마라도함은 배수량과 외형은 비슷하지만, 성능 면에서 대폭 개선되었다. 특히 전투체계 성능이 향상되어 표적 처리 능력이 두 배로 증가했다.[3][5][6][7][8]
3. 1. 레이더
마라도함은 대공 레이더로 이지스함처럼 4면에 다기능위상배열(AESA) 레이더를 단 이스라엘제 EL/M-2248 MF-STAR 레이더를 사용했다. 최대 탐지거리는 450km이며 저고도로 날아오는 대함 순항미사일은 25km 떨어진 곳에서 포착할 수 있다.[3][5][6][7][8]또한, LIG넥스원 SPS-550K 3차원 대공 및 대함 감시 레이더를 사용한다.[3][5][6][7][8]
3. 2. 무장
마라도함은 이스라엘제 EL/M-2248 MF-STAR 레이더를 사용하는데, 이 레이더는 최대 탐지거리가 450km이며 저고도로 날아오는 대함 순항미사일은 25km 떨어진 곳에서 포착할 수 있다. 또한, LIG넥스원 SPS-550K 3차원 대공 및 대함 감시 레이더를 사용한다.[3][5][6][7][8]근접방공시스템은 네덜란드산 골키퍼 CIWS에서 미국산 팰렁스 CIWS로 바뀌었다. 날아오는 대함미사일을 요격할 무기도 미국산 RIM-116 램 대신 국산 해궁을 장착했다. 구체적으로는 2문의 20mm 팰렁스 CIWS와 함교 후방에 자체 개발한 K-SAAM을 위한 K-VLS를 갖추고 있다.[3][5][6][7][8]
3. 3. 비행갑판
V-22 오스프리 2대를 수용하도록 비행 갑판을 개조하였다. 독도함은 1대만 탑재할 수 있었다.[3][5][6][7][8]4. F-35B 운용 논의
2017년 12월, 한국군 수뇌부는 F-35B 6대를 마라도함에 탑재하는 방안을 검토했다.[14] 2014년 3월, 한국군은 F-35A 40대를 도입하기로 결정했고, 추가로 20대를 더 도입할 계획이었다. 이 중 6대를 F-35B로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.
2017년 11월,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에게 F-35 추가 구매를 요구했다. 이에 일본은 F-35B를 추가 구매하고 이즈모함을 개조하는 연구를 시작했고, 한국도 F-35B 추가 구매를 검토하게 되었다.
4. 1. 주변국 반응
2017년 12월 26일,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의 F-35B 도입 검토와 관련해 일본은 평화헌법을 준수하고 신중히 행동해야 한다고 밝혔다.[15]4. 2. F-35B 운용 가능성
2017년 12월 25일, 한국군 수뇌부는 수직이착륙기인 F-35B 6대를 마라도함에 탑재하는 문제를 검토했다.[14] 한국군은 2014년 3월 F-35A 40대를 2018~2021년까지 도입하기로 결정했고, 나머지 20대는 2023~2024년 전력화를 목표로 추후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. 이 추가 20대 중 6대를 F-35B로 도입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.2017년 11월, 트럼프 대통령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문재인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F-35 추가 구매를 요구했다. 이에 일본은 F-35B 20~40대를 추가 구매하고 이즈모함의 비행갑판을 개조하는 연구를 시작했다. 한국도 F-35B 20대 추가 구매 방안을 검토했다.
2017년 12월 26일,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일본의 F-35B 도입 검토에 대해 일본은 평화헌법을 준수하고 신중히 행동해야 한다고 밝혔다.[15]
F-35B는 120m 이륙 거리와 수직 착륙 기능을 갖춘 STOVL(Short Take-Off and Vertical Landing) 전투기이며, 마라도함의 길이(199m)를 고려하면 이착륙이 가능하다. 마라도함에 수직이착륙기용 비행갑판이 설치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언론 보도가 엇갈린다. 마라도함의 비행갑판은 초고장력강(UHSS)으로 제작되어 MV-22 오스프리와 같은 수직이착륙기의 이착함이 가능하며, 독도함의 비행갑판은 고장력강이다.[16] F-35B의 무게는 약 27톤으로 MV-22 오스프리의 최대이륙중량(27.4톤)과 비슷하다. F-35B 착함 시 갑판 부식을 막기 위해 내열 코팅이 필요하다. 독도함도 쌍용훈련에서 MV-22 오스프리 이착륙을 실시하고 있다. F-35B는 함재기용 어레스팅 후크 없이 수직 착륙만 고려하여 개발되었다.
5. 건조 규모 논란
2010년 10월 18일, 독도함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 국정감사에서 해군은 2018년에 마라도함을 취역시킬 것이라고 밝혔다. 마라도함은 독도함보다 30% 이상 커져서 헬기 10대가 동시 작전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했다.[17] 독도함은 헬기 6대가 동시 작전 가능하다.[18] 만재배수량 18,800톤인 독도함보다 1.3배 커지면, 마라도함의 만재배수량은 24,440톤 이상이 될 것이다. 만재배수량 27,000톤인 일본 이즈모함은 헬기 9대가 동시 작전 가능하다.[19]
대한민국 해군은 독도함(14,000톤) 1척만 운용 중인데, 군 일각에서는 중국 항모인 랴오닝호(67,500톤)와 일본의 경항모급 헬기호위함인 이즈모형 호위함(19,000톤)에 대한 대응조치로서, 마라도함을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를 탑재할 수 있는 경항모(2만t 이상)급으로 건조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.[20]
2014년 12월 23일, 대한민국 국방부는 한진중공업과 4175억원에 마라도함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. 3257.7억원에 계약한 독도함보다 1.28배 비싸졌다. 마라도함은 배수량은 독도함과 같지만, 비행갑판을 개량하여 V-22 오스프리 수직이착륙기 2대가 이착륙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.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는 탑재할 수 없다.[21] 일본의 이즈모함도 MV-22 오스프리 2대의 이착함이 가능하다. 록히드 마틴은 한국군 당국에 F-35B 수직이착륙 전투기 관련 자료를 전달했다.[22]
2016년 3월, 한진중공업은 마라도함의 설계를 마쳤다.[23] 2016년 4월, 북한이 한진중공업을 해킹해 내부 정보가 유출되었다. 북한 인민무력부 정찰총국에 해킹당한 것으로 추정되며, 한진중공업은 "10억원을 들여 망분리부터 하기로 했다"고 밝혔다.[24] 한진중공업은 아직 마라도함의 기공식은 하지 않았으며, 2016년까지 설계를 진행 중이다.
참조
[1]
웹사이트
South Korea's HHIC Launched V-22 Capable LPH Marado for ROK Navy
https://www.navyreco[...]
navyrecognition.com
[2]
웹사이트
Aircraft Carriers or Not? Flattops in the Pacific
https://thediplomat.[...]
2020-07-06
[3]
웹사이트
South Korea changes mission for its newly launched assault ship
https://www.defensen[...]
defensenews.com
2018-05-21
[4]
웹사이트
South Korea Commissions Second Dokdo-class Amphibious Ship ROKS Marado (LPH-6112)
https://www.navalnew[...]
2021-06-28
[5]
웹사이트
South Korea selects mix of local, Israeli sensors for second Dokdo-class helicopter carrier
http://www.janes.com[...]
Jane's Information Group
[6]
웹사이트
South Korea to deploy K-SAAM on second Dokdo class
http://www.janes.com[...]
Jane's Information Group
[7]
웹사이트
Nieuwe helikoptercarrier Zuid-Korea te water, maar zonder Nederlandse wapens en sensoren
https://marineschepe[...]
marineschepen.nl
[8]
웹사이트
Dokdo/Marado comparison
https://thaimilitary[...]
thaimilitaryandasianregion.com
[9]
웹사이트
The Dokdo Class: an LHD for the ROK
https://www.defensei[...]
defenseindustrydaily.com
[10]
웹사이트
South Korea to deploy its largest vessel to RIMPAC 2022
https://www.navalnew[...]
2022-05-20
[11]
뉴스
해군, 독도함급 대형수송함 2번함 함명 '마라도호'으로 결정
http://www.edaily.co[...]
이데일리
2018-02-04
[12]
웹인용
수직발사 대함방어유도탄 '해궁' 탑재 마라도함, 10월 작전배치
https://www.yna.co.k[...]
2021-06-28
[13]
웹인용
https://www.youtube.[...]
[14]
뉴스
제2독도함서 F-35B 수직이착륙기 뜰까?…"軍수뇌부서 최근 논의"
연합뉴스
2017-12-25
[15]
뉴스
中, F-35B 도입 검토하는 日에 "신중하라" 경고
전자신문
2017-12-26
[16]
웹인용
해군 대형수송함 '마라도함' 취역… 독도함 이후 14년만
https://moneys.mt.co[...]
2021-06-28
[17]
뉴스
독도함 후속 2013년 건조시작 2018년 취역
BBS 뉴스
2010-10-18
[18]
뉴스
경항모급 '제2 독도함' 건조한다
세계일보
2012-08-29
[19]
뉴스
"[뉴스통] 한·중·일의 항공모함 급 군함 크기와 성능은?"
YTN
2015-03-26
[20]
뉴스
영유권 분쟁 대비 ‘제2 독도함’ 만든다
동아일보
2013-12-12
[21]
뉴스
軍, '제2독도함'에 美 수직이착륙기 탑재···상륙 능력 향상
세계일보
2014-09-18
[22]
뉴스
독도함 후속 '마라도함'에 F-35B 탑재 필요하다
뉴데일리
2015-06-17
[23]
뉴스
한진重, 기무사 시정요구 무시하다 해킹 자초
한국일보
2016-05-11
[24]
뉴스
방산업계 해킹 시도 3월부터 3배 이상 폭증
한국일보
2016-05-13
[25]
뉴스
해군, 제2독도함 함명 '마라도함' 명명…4∼5월께 진수
http://www.yonhapnew[...]
연합뉴스
2018-05-14
[26]
뉴스
해군, 독도함급 대형수송함 2번함 '마라도함'으로 명명
http://news1.kr/arti[...]
뉴스1
2018-05-14
[27]
뉴스
1만4천t급 대형수송함 '마라도함' 진수식…2020년 해군 인도(종합)
http://www.yonhapnew[...]
연합뉴스
2018-05-14
[28]
뉴스
상륙함으로 만들고 수송함···199m '마라도함' 비밀
http://www.joongang.[...]
중앙일보
2018-05-14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